다운로드 자료실

다운로드 자료실

[K공단 팀장 리더십 교육] 신임 리더 대상, 업무 관리 및 관계 관리 강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Nana
작성일25-05-21 04:53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동우화인켐에서 팀장 리더십교육 리더십 교육을 진행하고 왔습니다. 차세대 직책자/팀장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으로 본 교육의 학습자들이 차기 리더로 선발이 됩니다. 2일간 진행되는 교육 중 1일차는 버크만 진단을 통해 나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리더의 역할에 대해 의견을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1일차 교육의 주요 내용을 간략히 정리합니다. ​​자기 인식과 타인 이해 ​이번 교육에서는 버크만 진단을 바탕으로 사람들의 다른 스타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좀 더 상세한 요소로 개인의 성향을 진단하기 위해 진단은 '시그니처'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MBTI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하지만 버크만 진단의 경우 시그니처로 진행이 되면 개인에 대해 심층적인 내용들을 디테일하게 팀장 리더십교육 볼 수 있어 리더 대상의 교육에서 많이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버크만 진단은 '색'과 '기호'의 위치에 따라 해석을 해야 하다보니 진단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결과를 해석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지만 이해를 하고 나면 다른 진단들 대비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버크만 진단에서는 욕구, 평소 행동, 스트레스 행동, 흥미가 중요한데 리더십 강의 시 특히 '욕구'에 대해 많이 강조를 하는 편입니다. 욕구는 나무의 뿌리와 같은 것으로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서 파악이 어렵지만 사람의 행동, 말 등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번 과정에서는 스그니처 리포트 결과를 바탕으로 동일유형의 조를 팀장 리더십교육 편성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스트레스 행동의 경우 인간의 자연스런 행동 유형이지만 리더들은 자신의 스트레스 행동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남들에게는 아주 쉽게 관찰이 되고 타인들은 잘 인식하고 있는 나의 스트레스 행동을 본인 자신은 잘 모르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타인은 사람이 보이는 스트레스 행동으로 그 사람을 판단하기에, 스트레스 행동을 '조절'하지 못하면 주변 사람들에게 매우 안 좋은 인상을 각인시킬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행동은 부정적이고 비생산적이며 비효과적인 행동이지만 리더는 이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욕구가 만족되면 그 사람의 평소 행동이 나오지만,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스트레스 행동이 나타나게 팀장 리더십교육 됩니다. 하지만 욕구가 충족이 되지 않아도 주변 상사의 영향을 받아 내 뜻(의도)과는 관계 없이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 행동을 주변 사람들이 그 사람의 평소 행동으로 인식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사회화된 행동'으로 볼 수 있는데 버크만 진단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다른 진단들과는 다른 프레임으로 현상과 사람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키울 수 있어 매우 파워풀한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쉬는 시간에 각자의 진단 결과 리포트를 들고와 많은 질문들을 해주셨는데 이번 교육에서 학습하신 내용들이 향후 리더십을 발휘하고 사람을 상대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동우화인켐, 차세대 팀장 리더십교육 직책자/팀장 리더십 교육 직책자/팀장이 되면이전과는 다른 역할이 주어진다 ​직책자/팀장이 되기 전에는 나에게 주어진 일만 잘하면 되지만 보직을 맡고 난 이후에는 나만 잘해서는 안 됩니다. 내가 맡고 있는 팀과 팀원들이 제대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은 보직자의 역할이자 주요한 책무입니다. ​역할이란 것이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보직자가 되기 전 미리 내가 수행해야 할 역할들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행동동사를 포함해 구체적인 기술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먼저 두 가지 관점으로 구분을 해봐야 합니다. 첫 번째는 조직 및 상사가 기대하는 역할이고, 두 번째는 동료 및 부하직원들이 기대하는 역할이 그것입니다. 전자는 좀 넓은 관점에서 시각을 넓히는 것들이 팀장 리더십교육 많이 해당되는 반면, 후자는 부하직원들이 각각 자기자신에 초점을 맞춘 것들이 많은 편입니다. ​직책자/팀장은 경영진과 구성원 사이에서 중간 다리, 중재자의 역할을 잘 수행해야 합니다. 경영진은 하위 계층을 구성하고 있는 조직원들에게 직접 지시를 내리기 보다 직책자/팀장을 통해 그것들을 전달하게 됩니다. 그래서 하위 계층의 구성원들에게 조직과 비즈니스 관점의 맥락을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하고, 실무단에서 겪고 있는 어려운 현실적 문제들을 경영진에게 잘 전달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입니다. 그래서 위와 아래를 잘 연결할 수 있는 'Linker'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데 집중해야 합니다. 아울러 차후 내가 맡게 될 팀의 정체성과 내가 만들어가고자 팀장 리더십교육 하는 방향을 설정하고 그것들을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야 하는 것 또한 필요합니다.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부서에서 오신 분들과 서로 다른 관점과 생각들을 나눠 주셨는데 각자 리스트로 정리하신 내용들이 현업에서 잘 활용되실 수 있도록 직책자/팀장이 되기 전 더 정교하게 발전시켜 나가시길 기원합니다. ​이 교육은 케이브레인컴퍼니에서주관해 주셨습니다. ​#김영수강사 #리더십 #리더십교육 #팀장교육 #직책자교육 #버크만 #버크만진단 #자기인식 #타인이해 #역할인식 #욕구 #스트레스행동 #링커 #linkerM사의 신임 팀장님들 대상으로 리더십 강의를 하고 왔습니다. 신임 팀장 과정의 학습자분들은 항상 '...S사 팀장님들과 구성원 육성 방안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구성원 육성에 대한 전반적인 것들을 포...2월의 기존 직책자 교육에 이어 팀장 리더십교육 이번에는 새로 직책자로 부임하신 분들과 리더십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너...팀장은 관리자일까, 리더일까? 팀장이라는 자리에 처음 오르면 누구나 이런 고민에 빠지게 된다. 나...강의 현장에서 리더들을 만날 때 자주 듣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내가 지금 제대로 하고 있는 건지 모...​블로그 내 '강의 현장'과 'HRD Insight'탭에서 더 많은 내용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김영수 LEARN &ampINSIGHT ​인스타그램 ​[저서] 신임 팀장 튜토리얼(2024)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학력 및 자격]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경제학 석사)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교육학 석사)평생교육사MBTI Global Certificate 강사자격Birkman Method 강사자격 KAC : 한국코치협회 인증 코치 CFP : Certified Financial Planne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