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에 조성된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 토마토 온실에서 천장에 설치된 스크린으로 채광량을 조절하고 있다. 김정석 기자 지난 5월 20일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 엄암리. 평범한 시골길을 따라 달리다 보니 저 멀리 거대한 시설물들이 늘어서 있는 것이 보였다. 나지막한 야산과 이제 막 모내기 채비에 들어간 논, 오래돼 보이는 주택들만 간간이 보이던 풍경에서 갑자기 공장처럼 생긴 시설물들이 나타나자 낯선 느낌이 들었다. 이곳은 축구장 60개 정도 규모인 42.7㏊ 부지에 들어선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다. 사업비 1738억원을 들여 2021년 준공한 이곳에서는 딸기와 토마토, 멜론, 오이 등 작물을 위주로 키우는 스마트팜이 줄지어 들어서 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부지 안으로 들어서니 우뚝 솟은 온실이 끝도 없이 늘어서 있었다. ━ ‘농사 문외한’서 전문농부로 교육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매년 18~39세 사이의 청년 52명을 선발해 전문화된 창농 교육을 시키는 청년창업보육센터, 농업 관련 기술이나 기자재 실증을 진행하는 실증단지, 청년창업보육센터 수료생과 지역 농업인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임대형 스마트팜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토마토 농사를 짓고 있는 강태영(32)씨도 청년창업보육센터 교육생 중 한 명이다. 교육생으로 들어오기 전까지만 해도 농사와는 전혀 관련 없던 청년이었다. 강씨는 “도서관에서 사서로 근무를 하다가 농업에 흥미를 느껴 지원하게 됐다”고 말했다. 경북 상주시 사벌국면에 조성된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 토마토 온실에서 교육생 강태영씨가 작물을 살펴보고 있다. 김정석 기자 강씨의 하루 일과는 토마토가 자라고 있는 온실이 아닌 ‘환경제어실’에서 시작된다. 환경제어실에 설치된 컴퓨터 화면에는 ‘외부환경 기상센서’가 있는데, 여기서 온실 안의 온도와 풍향, 풍속, 일사량(日射量), 내부 습도 등이 표시돼 있었다. 또 토마토 줄기가 연결된 배지(培地)는 토양 역할을 하는데, 스마트팜 설비가 배지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배지에 수분 함량이 얼마나 높은지를 파악한다. 강씨는 토마토 생육 단계를 고려해 최적 ━ 감귤철 아닌 여름에 맛보는 생귤! 지난 6월 30일 제주감귤농협 위미지점 제6유통센터에서 이날 수확한 제주산 하우스감귤의 선과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농협 제주본부 제주산 하우스감귤이 본격적으로 출하해 무더위 속 소비자의 입맛을 공략한다. 하우스감귤은 이름 그대로 비닐하우스에서 키워진 감귤이다. 매년 4월부터 9월까지 나오는데 주로 여름철 과일 시장에 나온다. 매년 10월 말부터 12월까지 나오는 노지감귤(일반 감귤)과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나오는 황금향·한라봉 등 만감류의 빈자리를 채우는 귤이다. ━ 7월 11일엔 서울에서 만나요 지난 6월 30일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의 한 농가에서 올해산 하우스감귤 수확 분류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농협 제주본부 농협 제주본부는 5일 제주도, 제주감귤연합회, 제주농산물수급관리센터 등과 함께 7월부터 8월까지 ‘하.하. 온 국민 페스티벌’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하.하.’엔 온 국민이 제주산 ‘하’우스 감귤을 ‘하’루에 ‘하’나씩 맛보자는 의미가 담겼다. 이와 관련해 오는 11일 서울 하나로마트 양재점에선 제주 하우스감귤 페스티벌이 열린다. 행사장에선 가격할인과 시식 행사 등을 진행한다. 또 전국 하나로마트, 대형마트, 농협몰, 홈쇼핑, 라이브커머스 등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하우스감귤 소비 확대를 위한 홍보와 판촉 행사를 연다. ━ 전년보다 약간 줄었지만…“달다” 지난 6월 30일 제주감귤농협 위미지점 제6유통센터에서 이날 수확한 제주산 하우스감귤의 선과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농협 제주본부 제주 하우스감귤 재배 면적은 2010년 312헥타르(㏊)에서 2015년 250㏊까지 감소했다. 경영비 상승과 소비 부진 등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품질 향상과 함께 수요가 늘어나며 지난해 재배 면적이 468㏊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올해 하우스감귤 생산량도 2만6600t으로 전년(2만7036t) 대비 1.6% 정도 줄어 비